🧩 언어치료사를 위한 프롬프트 가이드

생성형 AI 프롬프트, 이렇게 쓰면 잘 나옵니다

명령·맥락·페르소나·예시·포맷·어조 + 실전 기법(Few-shot, Chain-of-thought, Constraint 등)

프롬프트 기본 6요소

아래 요소를 조합하면 생성형 AI의 결과 품질이 눈에 띄게 좋아집니다.

명령 [task]

무엇을, 얼마나, 누구 위해

요청을 구체적으로 지시합니다.

6세 아동을 위한 어두 초성 ‘시-’ 문장 3개를 만들어 주세요.
맥락 [context]

대상·상황·제한

임상 장면을 적어 주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.

대상: 6세 조음음운장애 / 치료: 1:1 세션
목표: ‘시’ 환경에서 /ㅅ/ 산출 안정화
페르소나 [persona]

역할을 부여

전문가 관점으로 답하게 만듭니다.

당신은 한국어 조음치료 전문가인 언어치료사입니다.
예시 [example]

원하는 스타일을 샘플로

예시 1~2개만 제시해도 스타일을 잘 따라옵니다.

예시: “시계가 똑딱거려요.”, “시소를 타요.”
→ 같은 톤으로 3개 더.
포맷 [format]

표/리스트/HTML/JSON

바로 붙여 쓸 수 있게 형식을 지정합니다.

출력: | 단어 | 문장 | 그림설명 |
형식: 표(마크다운) · 문장 7단어 이내
어조 [tone]

누구에게 말하듯

보호자용은 친절하게, 강의용은 학술적으로.

어조: 보호자 상담용, 쉽고 따뜻하게.

자주 쓰는 프롬프트 기법

① 역할 지시 (Role prompting)

특정 전문가 역할을 주면 판단 기준이 정교해집니다.

당신은 AAC 전문가입니다.
6세 아동의 “원해요/주세요” 요청 표현을 확장하는 활동 3가지를
장면·대본·보조공학 도구와 함께 제시해 주세요.

② Few-shot (샘플 예시 제공)

원하는 스타일을 1–2개 예시로 고정.

예시: “시원한 시냇물이 흘러요.”
예시: “시소를 타고 놀아요.”
→ 같은 난이도와 길이로 3개 더 작성

③ Chain-of-thought (단계적)

복잡한 요청은 단계로 나눠 사고 과정을 유도합니다.

1) 오류 유형 요약 → 2) 단기·중기 목표 → 3) 활동·숙제 제시
각 단계는 2문장 이내, 표로 출력

④ Instruction + Constraint (지시 + 제약)

길이·어휘·난이도·금지어 등 제약을 주면 품질이 안정적.

문장은 7~9단어, 고빈도어만 사용, 의성어 1개 포함, 전문용어 금지

⑤ ReAct (추론 + 행동)

분석 후 실행 결과를 구분해 달라고 지시합니다.

보고서 분석(Reasoning) → 목표·활동 제시(Acting)
출력은 <분석> / <목표> / <활동> 섹션으로 구분

⑥ Iterative (반복 개선)

초안 → 수정 지시 → 재생성. 짧은 피드백이 효과적입니다.

좋아요. 2번 문장을 더 짧게, 동물 주제로 바꿔서 다시.

⑦ Persona + Style Transfer

대상군에 맞는 말투로 전환.

“보호자 안내문” 스타일로, 존댓말, 한 문단 120자 이하.
치료 전·중·후 가정연습 팁 3가지.

⑧ Zero-shot / Retrieval (자료 연동)

예시 없이 명령만, 또는 내 자료(RAG)로 근거를 붙입니다.

(RAG) 첨부한 PDF 기준으로만 답하고, 인용문에 페이지 표시.
근거가 없으면 “불확실”이라고 답해 주세요.
🔎 : 그림·영상 생성 시 캐릭터 일관성은 “고정 속성(나이/헤어/색/의상)”과 “반복 문구(시그니처 프롬프트)”를 함께 사용하고, 필요 시 seed나 참조 이미지로 고정하세요.

바로 쓰는 템플릿

① 6요소 기본 템플릿

명령[task]: {{여기에 정확한 작업 지시}}
맥락[context]: 대상 {{나이/장애유형}}, 장면 {{개별/그룹}}, 목표 {{예: /ㅅ/ 산출}}
페르소나[persona]: 당신은 {{분야}} 전문가인 언어치료사입니다.
예시[example]: {{원하는 스타일의 샘플 1~2개}}
포맷[format]: {{표/리스트/HTML/JSON}}, {{길이·단어 수 제한}}
어조[tone]: {{보호자 상담용/학술적/아동친화적}} 

② 그림 자료 생성 템플릿

역할: 당신은 아동 언어치료용 그림자료 디자이너입니다.
목표: 6세 아동 /ㅅ/ 초기 위치 연습용 카드 3장 생성.
스타일: AAC 심볼 스타일, 흰 배경, 굵은 외곽선.
고정 속성: 동일 캐릭터(6세 남아, 갈색 단발, 빨간 티셔츠).
출력: 각 카드에 [단어] [문장(7~9단어)] [그림 설명] 표로 제시.

③ 평가→치료목표 자동화 템플릿

역할: 당신은 조음·언어 평가 해석 전문가입니다.
입력: 아래 평가 요약을 분석하여 [오류 패턴]→[단기/중기 목표 3개]→[활동·숙제]를 제안.
제약: 목표는 SMART, 활동은 치료실/가정 각 2개, 표 형식.
평가 요약: <여기에 붙여넣기>

④ RAG Q&A 템플릿 (근거 제시)

역할: 당신은 근거중심(EBP) 언어치료 가이드입니다.
지시: 첨부 문서에서만 답하고, 각 주장 뒤에 (문서명 p.xx)로 표시.
불확실: 근거가 없으면 “불확실”이라 명시하고 추정하지 마세요.
질문: <여기에 질문>

품질·안전 체크 프롬프트

할루시네이션 방지

위 답변에서 사실 여부가 불확실한 문장을 표시하고,
검증이 필요한 근거를 리스트로 제시해 주세요.

아첨(Sycophancy) 억제

내 의견에 자동 동조하지 말고, 반례 2가지를 제시한 뒤
가장 타당한 선택을 근거와 함께 설명해 주세요.
현장 팁: 초안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“한 단계 낮춰서 더 쉽게”, “동물·놀이 주제로 바꿔서”, “문장 길이 7단어 이내”처럼 짧고 구체적으로 재지시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