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경언어장애세미나
이현정 | Dyson, B., Håkansson, G., & Ballard, K. J. (2022). A developmental approach to assessing and treating agrammatic aphasia. American Journal of Speech-Language Pathology, 31(3), 1188-1204. | 브로카 실어증(Broca’s aphasia)에서 나타나는 비문법적(agrammatic) 언어문제를 기존의 개별적 결함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, 발달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평가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안. 이를 위해 제2언어 습득 분야에서 유래한 처리 가능성 이론(Processability Theory, PT)을 활용하여 실어증 연구 결과를 연결하고, 언어 처리의 다차원적 구조를 분석 |
손선재 | Roelofs, A. (2021). Phonological cueing of word finding in aphasia: insights from simulations of immediate and treatment effects. Aphasiology, 35(2), 169-185. | 실어증에서 음운 단서가 단어 찾기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(immediate effects)와 치료 효과(treatment effects)를 신경 및 행동 측정에서 분석하고, 정상 화자의 음운 효과와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연구. 특히, 음운 단서의 효과가 발생하는 인지적 위치(locus)와 장애 상태에서의 공통 메커니즘 여부를 조사 |
최원영 | Dietsch, A. M., Solomon, N. P., Sharkey, L. A., Duffy, J. R., Strand, E. A., & Clark, H. M. (2014). Perceptual and instrumental assessments of orofacial muscle tone in dysarthric and normal speakers. | |
장예은 | ||
김남희 | ||
최성만 | ||
김은서 | ||
주명진 | ||
김태연 | ||
최민정 | McCurdy, R., Covington, N. V., & Duff, M. C. (2025). Naming Ability in the Chronic Phase of Moderate–Severe Traumatic Brain Injury. American journal of speech-language pathology, 34(1), 377-390. | 중증 TBI 환자가 급성기를 지나 만성기로 접어들었을 때, 언어 기능 중 특히 명명 하기가 어떻게 유지되거나 손상되는지를 평가 |
김소희 | Minga, J., Fromm, D., Williams-DeVane, C., & MacWhinney, B. (2020). Question use in adults with right-hemisphere brain damage. Journal of Speech, Language, and Hearing Research, 63(3), 738-748. | |
김윤수 | ||
임송미 | Common predictor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performance in aphasia, alexia, and agraphia | |
김은진 |
Hu, X., Ma, Y. N., Karako, K., Tang, W., Song, P., & Xia, Y. (2024).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dysphagia in the elderly population: Current status and prospects. Bioscience trends, 18(2), 116-126.
|
인지 기능 장애가 있는 노인의 연하곤란 선별 검사의 중요성을 강조. 진단과 치료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활 훈련과 신기술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법을 제안 |
이세윤 | Xu, X., Zhang, Q., Xie, Y., Yang, D., Gao, F., Yuan, Y., ... & Li, J. (2024). Coordination between respiration and swallowing in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cervical spinal cord injury: an observational case–control study. American Journal of Speech-Language Pathology, 33(5), 2572-2581. | |
하수민 | ||
심소연 | Pereira, J. A., Pereira, J. A., Zanchettin, C., & do Nascimento Fidalgo, R. (2024). PrAACT: Predictiv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ith transformers.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, 240, 122417. | AAC의 경우 어휘 선택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선택하는 어휘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선호도를 분석하여 최적의 어휘를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. |
김보경 | ||
박미진 |